머스크가 삼성전자와 22조원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을 발표했어요. 테슬라 AI6 칩 생산을 삼성 텍사스 공장에 전담시키면서 삼성전자 주가는 6% 급등해 1년 만에 7만원을 돌파했어요.
22조원이 바꾸는 판도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맺은 22조 7648억원 계약은 단일 고객사 파운드리 계약 중 최대 규모예요. 2025년 7월부터 2033년 12월까지 8년 5개월간 진행되는 이 계약은 삼성전자 2024년 전체 매출의 7.6%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규모예요.
테슬라는 차세대 자율주행 칩인 AI6 생산을 삼성 텍사스 공장에 전담시키기로 했어요. 기존에는 AI4 칩을 삼성에, AI5 칩을 대만 TSMC에 맡기던 구조였는데, 이번 결정으로 공급망 다각화를 본격화한 거예요.
삼성, 반전 노린다
2025년 1분기 기준 삼성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7.7%로 TSMC의 67.6%에 한참 뒤처져 있어요. 테슬라라는 빅 고객을 잡은 건 TSMC에 밀려온 시장 신뢰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어요.
대규모 계약으로 공장 가동률이 오르면서 수익성 개선 기대감도 커지고 있어요. 삼성은 평택과 테일러 공장에 2나노 생산라인을 구축 중인데, 테슬라 물량으로 가동률을 높여 파운드리 적자 탈출을 노리고 있어요.
2나노 수율이 관건이다
삼성은 2나노 공정에서 게이트올어라운드라는 신기술을 적용해 고성능·저전력 반도체 생산을 목표로 해요. AI6 칩은 현재 AI5보다 5,000~6,000 TOPS나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하며, 테슬라 자율주행차와 로봇 옵티머스에 탑재될 예정이에요.
하지만 3나노 공정에서 수율 문제로 2024년에만 4조원 이상 적자를 봤다는 게 가장 큰 리스크예요. 2나노에서도 수율 문제가 터지면 테슬라와의 관계는 물론 계약 이행 자체가 흔들릴 수 있어요.
텍사스에서 만나는 이유
삼성 테일러 공장은 2026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는데, 테슬라 본사가 있는 텍사스 오스틴과 가까워 생산 효율이 높아질 거예요. 미국 정부의 보호주의 정책과도 딱 맞아떨어지는 점이 계약 체결의 숨은 배경이에요.
삼성은 미국 반도체법 보조금 47.5억 달러를 받아 테일러 공장 투자를 추진했어요. 테슬라 입장에선 TSMC 의존도를 줄이면서 지정학적 리스크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잡는 전략이에요.
결론
머스크와 삼성의 22조원 칩딜은 단기 주가 상승과 장기 기술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분명한 호재예요. 대규모 계약으로 공장 가동률이 오르고 파운드리 사업부가 흑자 전환할 가능성이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이끌어내고 있어요.
하지만 3나노에서 겪은 수율 문제가 2나노에서도 터진다면 계약 차질과 함께 주가 조정 압력이 나타날 수 있어요. 결국 2026년 테일러 공장 가동 후 나올 2나노 수율 데이터가 이번 딜의 성패를 가를 핵심 지표가 될 거예요.